가족간에 돈을 주고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런데, 이런 일상적인 행위에도 세금이 붙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가족간 계좌이체에 대한 세금 부과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가족간 계좌이체 세금 부과, 세금 감면, 면제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계좌이체 하세요!
가족간 계좌이체 목적에 따라 세금 면제 및 감면액
가족관계 | 계좌이체 목적 | 세금 종류 | 세금 부과 여부 | 세금 면제액 또는 감면액 | 세금율 | 신고 기한 |
---|---|---|---|---|---|---|
부모-자녀 | 선물 | 증여세 | O | 2천만원 | 10%~50% |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
부모-자녀 | 판매 또는 교환 | 양도소득세 | O | –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부모-자녀 | 주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6억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부모-자녀 | 주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2천5백만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부모-자녀 | 교육비 증여 | 증여세 | X | – | – | – |
부모-자녀 | 의료비 증여 | 증여세 | X | – | – | – |
부모-자녀 | 장애인 복지시설비 증여 | 증여세 | X | – | – | – |
배우자 | 선물 | 증여세 | X | – | – | – |
배우자 | 판매 또는 교환 | 양도소득세 | O | –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배우자 | 주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6억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배우자 | 주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2천5백만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형제자매 | 선물 | 증여세 | O | 1천만원 | 20%~50% |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 |
형제자매 | 판매 또는 교환 | 양도소득세 | O | –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형제자매 | 주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6억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형제자매 | 주식 양도 | 양도소득세 | O | 2천5백만원 | 6%~45% |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 |
가족간 계좌이체에 세금이 부과되는 경우
가족간 계좌이체에 세금이 부과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증여세: 가족간에 돈을 선물로 주는 경우, 증여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증여자가 증여받은 자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증여자가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율은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과 증여자와 증여받은 자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증여세는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양도소득세: 가족간에 돈을 판매 또는 교환하는 경우, 양도소득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재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양도소득세율은 양도한 재산의 종류와 양도소득의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양도소득세는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에 세금이 부과되는 방법
- 증여세: 증여세는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에서 증여세 공제액을 뺀 금액에 증여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증여세 공제액은 증여자와 증여받은 자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증여세율은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증여세 공제액과 증여세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고할 때 확인해야 합니다.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양도한 재산의 양도가액에서 양도당시의 재산가액과 필요경비를 뺀 금액에 양도소득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양도소득세율은 양도한 재산의 종류와 양도소득의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양도소득세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고할 때 확인해야 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에 세금을 줄이거나 면제받을 수 있는 방법
- 증여세: 증여세는 증여자와 증여받은 자의 관계에 따라 일정한 금액까지 면제되거나 감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 1년에 2천만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또한, 증여자가 증여받은 자의 교육비, 의료비, 장애인 복지시설비 등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세가 감면되거나 면제될 수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액과 감면액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고할 때 확인해야 합니다.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양도한 재산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금액까지 면제되거나 감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간에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6억원까지 양도소득세가 면제됩니다. 또한, 가족간에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2천5백만원까지 양도소득세가 감면됩니다. 양도소득세 면제액과 감면액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고할 때 확인해야 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에 세금 부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 증여세: 증여세는 증여자가 증여받은 자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증여자가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므로, 증여자가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는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재산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므로, 양도자가 양도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신고는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31일까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신고 시에는 양도한 재산의 양도가액, 양도당시의 재산가액, 필요경비 등을 적어야 합니다.
관련자료 함께 읽어보세요!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 2024년부터 1억 5천만원까지!
국세, 직접세와 간접세의 차이점 제대로 알면 ‘꿀팁’!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의 가입 방법과 비용, 필요한 서류
2024년 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방법, 기간, 지급금액, 총정리!